01. 연구실연구부에는 연구실을 둘 수 있으며 연구실 설치에 관한 사항은 따로 정한다. |
02. 연구부장박병남 |
03. 연구원권용우, 김우진, 윤현영, 박병남, 양희선, 이기영, 이동욱, 이원규, 이재호, 황진하 |
04. 연구분야 - 신소재공학 계열본 연구분야는 산업 전반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인 재료에 대하여 연구한다. 재료는 일반적으로 금속, 세라믹, 고분자, 반도체, 복합재료의 다섯가지 부분으로 나위어진다. 제형연구부에서는 각기의 분야 중 고분자를 제외한 재료 분야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연구 한다. 제형연구부 내에는 재료공정연구실, 화학공정연구실, 기능성재료연구실, 공정최적화연구실, 박막공정연구실, 전자재료연구실, 고온재료연구실 등의 세부 연구실이 있다. 각 연구실에서 연구되는 분야들은 PDP 관련분야, 반도체 packaging, 용접 및 접합, 에너지 저장합금, 표면개질, MEMS, 열전재료, 자성재료, TFT, LCD, Si 반도체 재료, 초소성재료, 고온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하여 연구하고 있다. |
05. 주요사용장치 및 기기투과전자현미경(TEM), 주사전자현미경(SEM), 플라즈마화학증착기(PECVD), 원자흡광분석기(AAS), Ion cutter, Ion miller, Dimpler, 에어론 시험기, 만능재료시험기, 열압기, 유도융해로, 고주파유도가열장치, 진공성형기, 스퍼터, 크림성형기, 고온실험재료 물성측정기, 진공용해로, 입도분석기, 반도체 점 정밀 시험실, AO진피포텐 측정기, 전하이젝터, 플라즈모 그라피, 가스크로 마토그래프, 열사분석기, 알파스텝, 강유전체 측정기, 자연화학측정기, 진공증착기 |
06. 연구과제1. ERW Simulation의 응용자 거동 및 전류 분포도 해석 2. 고에너지밀도 필름 콘덴서를용 세라믹 박막 형성 기술 개발 3. 가압소결법을 이용한 마이크로 전자 박막모듈용 열전소자의 제조 공정 연구 4. 고강도 압력미용 합금체의 응점성 개선에 관한 연구 5. PDP용 기초 소재 개발 연구 6. 자연모양상변화를 이용한 CBN소재의 공정 공학 연구 7. 초고주파 대역에서 사용되는 미소 가스기전 개발 8. 광증폭기 LD모듈용 전자 박막 소재의 제조 개발 및 열전 특성 연구 9. 이론비 예측을 이용한 박막 시편제조 |